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125

일과성 허혈 발작(일과성 대뇌 허혈 NOS)과 뇌경색 뇌혈관 질환은 생명과 직결되는 병이지만 자신의 주변에서 겪지 않았다면 의외로 잘 모를 수도 있는 질병인 것 같습니다. 팔다리 저림, 어지러움증 등 별 것 아닌 것 같은 증상도 큰 질병의 전조 증상일 수 있는데요. 뇌혈관 질환 중 일과성 허혈 발작과 뇌경색과의 깊은 관계에 대해 알아봅니다.    1. 뇌졸중 - 뇌경색과 뇌출혈  뇌졸중은 뇌혈관 관련 질환으로 뇌경색과 뇌출혈로 나눌 수 있습니다. 뇌경색은 뇌혈관이 막힘으로써 발생하는 뇌질환이고, 뇌출혈은 뇌혈관의 파열로 인해 혈액이 유출되어 발생하는 뇌질환입니다. 뇌출혈은 말 그대로 출혈성 뇌졸중이라고 하고 뇌경색은 허혈성 뇌졸중이라고도 하는데요.    2. 일과성 허혈 발작 (일과성 대뇌 허혈) 2-1. 일과성 허혈 발작(일과성 대뇌 허혈)이란? 일과성 .. 2024. 6. 24.
동맥과 정맥 - 혈관 질환 종류 중요한 신체 부위 중 하나인 혈관. 이 혈관은 동맥, 정맥, 모세혈관으로 나뉘는데요. 동맥과 정맥은 어떤 역할을 하는지, 혈액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 어떤 질환과 관련되는지 알아봅니다.   혈액은 화학반응을 위해 산소가 필요한 세포에 산소를 공급하고 그 과정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데요.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심장에서 신체의 각 부분으로 운반하는 것이 동맥이고, 이산화탄소가 많은 혈액을 다시 심장으로 보내는 것이 정맥입니다. 그리고 동맥과 정맥을 연결하는 그물모양의 얇은 관이 모세혈관으로 혈관과 조직 사이에서 산소와 영양분, 노폐물 등을 교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동맥 (artery) 동맥은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심장에서 온몸으로 운반하는 역할을 하며 근육 안쪽 깊숙한 곳에 위치합니다... 2024. 6. 20.
흰 살 생선과 등 푸른 생선(붉은 살 생선) 차이 건강하고 균형 잡힌 식단에 꼭 들어가는 것 중의 하나가 생선입니다. 생선은 흰 살 생선과 등 푸른 생선(붉은 살 생선)으로 나눌 수 있는데요. 각각 어떻게 구별되는지, 영양성분의 차이는 어떠한지 알아봅니다.    흰 살 생선과 등 푸른 생선(붉은 살 생선) 흰 살 생선은 말 그대로 생선 살이 흰빛을 띱니다. 흰 살 생선의 종류로는 대구, 가자미, 도미, 조기, 민어, 명태, 광어, 농어 등이 있습니다. 등 푸른 생선은 등이 푸른빛을 띠며 붉은색 살의 생선을 말합니다. 등 푸른 생선에는 고등어, 참치, 꽁치, 삼치, 멸치, 정어리 등이 있습니다.       생선살이 흰색과 붉은색으로 구별되는 이유  등 푸른 생선(붉은 살 생선)은 미오글로빈이라는 단백질이 많아 생선 살이 붉은색을 띠는데요. 미오글로빈은 물.. 2024. 6. 18.
녹내장과 운동 - 안압 높아지는 운동 자세 금지 녹내장은 시신경 손상으로 시야가 좁아지고 시력 저하를 가져오는 눈 질환입니다. 녹내장의 위험 요소 중 하나는 바로 안압 상승인데요. 그렇기 때문에 녹내장 환자들은 일상생활에서 안압이 올라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녹내장과 운동   현재 녹내장의 치료법은 병의 완치가 아니라 상태 유지와 안압 관리 등으로 추가적인 손상을 예방하는 것에 있습니다. 한번 손상된 시신경은 다시 회복되지 않아서 보통은 안압 상승을 막기 위해 안약을 넣는 보존치료를 하게 되는데요. 지속적인 안압 상승은 시신경 손상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녹내장 환자들은 일상생활에서 안압이 높아지지 않도록 신경을 써야 합니다. 운동을 할 때에도 마찬가지입니다. 신체 활동을 할 때 안압이 올라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1. 유산소 운동.. 2024. 6. 14.
728x90